건축가들의 세상 풍경

W

건축가들은 세상의 풍경을 바꾸어놓을 붓을 쥐고 있는 사람들이다. 8명의 거장, 그리고 그들이 지금 막 완성한 압도적인 프로젝트들.

“일렁이는 바다 위 은색 달빛을 보면서 느끼는 즐거운 호기심이내 건축의 모든 이유다.” - 리카르도 레고레타(2009년 4월 29일자  발췌)

“일렁이는 바다 위 은색 달빛을 보면서 느끼는 즐거운 호기심이
내 건축의 모든 이유다.”
– 리카르도 레고레타(2009년 4월 29일자 <동아일보> 발췌)

Ricardo Legorreta + The Gallery Casa del Agua

제주도는 국경 안의 이국이다. 병풍처럼 사방을 에워싼 바다, 유난히 온화한 공기, 잦게 출몰하는 초록빛 수목은 사람의 손이 과하게 탄 뭍과 사뭇 다른 풍경을 이룬다. 야생의 자연이 아직 기운을 잃지 않은 곳이라 할까?‘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삶을 녹여내는 건물’이야말로 진정한 건축이라 믿는 멕시코 출신의 거장 리카르도 레고레타가 이 섬에 이끌린 이유를 짐작하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가 설계를 맡은 카사 델 아구아, 즉‘ 물의 집’의 정체는 고급 레지던스 겸 호텔 단지다. 본 시설이야 아직 개장 준비 단계지만 모델 하우스와 미술 전시장으로 이루어진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만은 작년에 일찌감치 빗장을 걷었다. 흙벽돌처럼 붉은 외관은 비교적 담담해 뵈나 그 안쪽엔 파랑, 분홍, 보라 같은 과감한 색채가 감추어져 있다. 설명에 따르면 울긋불긋 천이 휘감긴 당산나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아울러 주위에 낮게 두른 담장 역시 제주도의 상징인 현무암을 쌓아 올려 완성했다. 그런데 지역적 모티프를 어느 정도 반영했음에도 여전히 이 집엔 무국적인 느낌이 짙다. 레고레타는 벽 위에 칼자국처럼 가지런한 틈새를 내고, 바다와 면한 쪽으론 큼직한 창을 터서 중문의 푸른 풍경과 건강한 햇빛을 내부까지 끌어들인다. 그 안에 머무는 동안은 한국과 멕시코의 시계가 모두 멈출 것 같은 기분이다. 태양과 파도, 그리고 바람엔 국적이 없을 테니까.

“나는 순수성을 지향한다는 점, 즉 일체의 장식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철저한모더니스트다. 하지만 건물들은 장식이 필요했다. 그 위에 인간적스케일을 갖추어야 했다. 그 장식은 얼굴 없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되었다.”- 프랭크 게리( 발췌) -

“나는 순수성을 지향한다는 점, 즉 일체의 장식을 배제한다는 점에서 철저한
모더니스트다. 하지만 건물들은 장식이 필요했다. 그 위에 인간적
스케일을 갖추어야 했다. 그 장식은 얼굴 없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되었다.”

– 프랭크 게리(<게리 : 프랭크 게리가 털어놓는 자신의 건축 세계> 발췌) –

Frank Gehry + Lou Ruvo Center for Brain Health

미국 라스베이거스 루 루보 뇌 건강 센터의 외관은 그 자체로 설계자의 명함이나 마찬가지다. SF 버전의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 등장할 법한, 우겨 놓은 양철 조각 같은 집을 짓는 사람이라면 그건 프랭크 게리거나 게리의 뻔뻔한 모방자일 수밖에 없으니까. 스페인의 빌바오 미술관, 미국 LA의 월트디즈니 콘서트홀, 체코 프라하의 댄싱 하우스 같은 그의 작업은 세상의 풍경을 완전히 바꾸어놓은 붓자국이었다. 현재 마무리 공사 단계인 루 루보 뇌 건강 센터(개원은 2009년 7월에 일찌감치 이루어졌다) 역시 주변의 경관을 완전히 장악할 만큼 개성이 분명한 건물이다. 알츠하이머, 파킨슨, 헌팅톤 병 같은 뇌질환 연구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이 시설은 새로운 랜드마크로서도 충분한 의미를 가진다. 물론 자신의 유행어를 고민 없이 재활용한 듯한, 지나칠 정도로 그다운 건축이란 점 때문에 별점을 하나쯤 덜어내는 사람도 적진 않겠지만.

“중국의 다세대 건축은 지금껏 관습적이고 규격화된 양상을 보여왔지만 우리는 틀을 깨고 싶었다. 이 새로운 수직적 구조물은 도시 안에서영위하는 개성적 삶의 방식을 추구한다.” -스티븐 홀

“중국의 다세대 건축은 지금껏 관습적이고 규격화된 양상을 보여왔지만 우리는 틀을 깨고 싶었다. 이 새로운 수직적 구조물은 도시 안에서
영위하는 개성적 삶의 방식을 추구한다.”
-스티븐 홀

Steven Holl + Linked Hybrid

알바르 알토상 수상 경력을 지닌 미국 건축가 스티븐 홀의 최근 작업 중 유독 인상적인 것이 바로 중국 베이징에 세워진 링크드 하이브리드다. 650여개의 아파트 및 편의시설로 구성된 이 복합 빌딩은 그 자체로 하나의 도시라 부를 만하다. 높거나 낮게 서 있는 건물들 사이를 구름다리 같은 중간 통로로 연결해 울타리처럼 둘러놓은 형태다. 건축가는 이에 대해“ 공적/사적 영역이 통합되어 있는, 보행자 중심의 환경”이란 설명을 덧붙인다. 불필요한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은 링크드 하이브리드가 일순위로 꼽는 자랑거리다. 한편 스티븐 홀은 다섯 구획으로 나뉘는 공동 공간의 콘셉트를 일생의 각 단계에 빗대어 정했다. 이를테면‘ 유아기’ 구역에는 유치원과 놀이터를,‘ 중년기’엔 티 하우스와 테니스 코트,‘ 영원기’엔 명상 센터를 마련해두는 식이다. 수필가이기도 한 설계자의 문학적 감수성이 폭발해버린 대목이랄까.

“자유롭고 개방적인 교육에 대한 쿠퍼 유니언의 의지를 건물에 표현하고자 했다. 빌딩 전체가상징적으로 도시를 향해 열려 있는 듯한 모습이다.” -톰 메인

“자유롭고 개방적인 교육에 대한 쿠퍼 유니언의 의지를 건물에 표현하고자 했다. 빌딩 전체가
상징적으로 도시를 향해 열려 있는 듯한 모습이다.”
-톰 메인

Thom Mayne + 41 Cooper Square

2009년 미국 뉴욕에 들어선 41 쿠퍼 스퀘어는 예술, 건축 및 공학 대학인 쿠퍼 유니언의 신규 연구 빌딩이다.“ 물과 공기처럼 자유로운 교육”을 지향했던 설립자 피터 쿠퍼의 이상을 설계 집단 모포시스의 주축 톰 메인이 나름의 건축 언어로 번역해냈다. 몇번을 접히고 쪼개진 파사드는 고층 건물에 관한 고정관념을 분방하게 뒤엎겠다는 일종의 선전포고로 느껴진다. 유리 및 알루미늄 소재의 외벽 위에 덧대어진 반투명의 스테인리스 스틸 스킨은 빌딩에 극적인 느낌을 더할 뿐 아니라 단열재로서도 탁월한 효과를 낸다. 밖을 향해 열려 있는(내부가 거리의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노출된다) 구조인 만큼 채광이 좋아 건물 내 75퍼센트는 낮 동안 자연광만을 사용해도 무방할 정도다. 아울러 폐열(廢熱)을 보조 에너지로 전환하는 열병합 시설까지 갖추고 있어 친환경 건축으로 불릴 자격이 충분하다. 톰 메인의 설계는 도시의 아름다움과 지구의 건강을 섬세하게 배려한다. 쿠퍼 유니언의 학생들이 곱씹어봄직한 메시지다.

“호론 디자인 박물관의 외관은 그저 보기 좋은 장식이 아니다. 그 또한 하나의 구조라고 봐야 한다.” -론 아라드

“호론 디자인 박물관의 외관은 그저 보기 좋은 장식이 아니다. 그 또한 하나의 구조라고 봐야 한다.” -론 아라드

Ron Arad + Design Museum Holon

올해 초 개관한 예루살렘의 호론 디자인 박물관 앞에서 누군가는 아티스트 리처드 세라의 육중한 철제 작품을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코르텐(내후성 강판) 띠를 휘휘 감아 올린 듯한 건물 외관이 미니멀리즘 거장의 조각만큼이나 팽팽한 조형적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까닭이다. 제품 디자이너 겸 건축가인 론 아라드는 마치 손 안에서 깎은 부메랑처럼 날렵하고 유쾌한 건물을 완성해냈다. 구조는 간단한 듯하면서도 절묘하다. 500제곱미터, 그리고 250제곱미터 규모의 전시장 두 개를 슬쩍 겹쳐놓은 뒤 이탈리아에서 공수한 코르텐 레이어 5개를 리본처럼 두르는 식이다. 단 하나의 기둥도 없이 철제 레이어만으로 하중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한편 층마다 강판의 부식 속도가 달라지도록 처리한 덕에 시간이 지날수록 외벽의 붉은빛 역시 입체적인 스펙트럼을 띠게 됐다. 호론시와 박물관 측은 벌써부터 이 프로젝트가 제2의 빌바오 미술관이 되길 노골적으로 바라는 눈치다. 터무니없는 욕심으로만 여겨지진 않는다.

에디터
피처 에디터 / 정준화

SNS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