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프리즈 서울 가이드, 화이트 큐브

권은경

젊고 재능 있는 영국 작가들이 탄생하던 순간을 공유한 상징적인 공간, 화이트 큐브. 프리즈 서울과 함께 화이트 큐브 서울이 개관한다.

서울과 현대미술이 가장 뜨겁게 조우하는 시기가 다가왔다. 작년 한국에 론칭한 국제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이 2023년 9월 6일부터 9일까지 열리기에 앞서 분위기는 일찍부터 달아올랐다. 첫 번째 페어를 경험한 국내외의 모두가 그 활기찬 에너지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전 세계에서 120여 개 갤러리가 프리즈 서울에 참여한다. 이는 작년보다 조금 더 늘어난 숫자로, 갤러리들의 활동지는 지역별로 다양하다. 세계에서 손에 꼽는 영향력을 가진 메가 갤러리들의 경우 미국과 유럽, 아시아에 걸쳐 지점이 분포되어 있지만, 결국 한 갤러리의 태도와 성향은 태어난 곳의 영향을 받을 것이다. <더블유>는 미국 동부에서 출발한 두 메가 갤러리인 데이비드 즈워너와 페이스갤러리, 서부에서 출발한 데이비드 코단스키 갤러리, 런던에서 출발한 화이트 큐브와 리슨갤러리를 비롯해 멕시코시티를 뿌리로 거점을 넓힌 쿠리만주토, 자카르타의 영 갤러리인 ROH, 그리고 한국의 중견 갤러리인 갤러리현대와 영 갤러리인 휘슬까지 두루 조명했다. 이 밀도 있는 프리뷰는 광활한 아트페어장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이끄는 <더블유>식 가이드다. 그보다 더 큰 의미는 이 탁월한 갤러리들을 통해 세계를 무대로 하는 컨템퍼러리 아트 신의 현재가 조금씩 보인다는 점이다. 갤러리들은 어떻게 흘러가고 있으며, 서울은 그들과 어떤 식으로 연결될 수 있을까?

White Cube 화이트 큐브

젊고 재능 있는 영국 작가들이 탄생하던 순간을 공유한 상징적인 공간, 화이트 큐브. 프리즈 서울과 함께 화이트 큐브 서울이 개관한다. ‘현대적인 것을 역사적인 것으로, 역사적인 것을 현대적인 것으로’라는 문구를 마음에 품고.

브람 보가트
‘Geelblauw’(1978) 42.2 x 49.5 8cm.
1970년대에 나타난 모던함. 작가는 다양하고 아름다운 색상을 활용해 자신만의 추상 화법을 완성했다.
BRAM BOGART, GEELBLAUW 1978,
HOMEMADE PAINT ON WOOD, 42.2 X 49.5 X 8 CM 1165/8 X 19 1/2 X 3 1/8 IN,
© BRAM BOGART FOUNDATION, PHOTO © WHITE CUBE(OLLIE HAMMICK)

“한국에 갤러리를 내면, 이를 통해 한국 시장에 대해 더 잘 알게 되고 연구할 수 있어요. 그 과정에서 재능 있는 한국 작가도 발굴할 수 있겠죠. 이제 유럽의 훌륭한 작가를 한국에 데려오는 건 물론, 한국이나 아시아권 작가를 좀 더 국제적인 플랫폼으로 데려가는 역할을 해내기에도 좋고요.” – 아시아 제너럴 매니저, 웬디 쉬(Wendy Xu)

“어떤 아트페어장에서는 시간이 참 느리게 흐릅니다. 관객을 기다리며 무료해서 시계를 쳐다볼 때가 있죠.”
화이트 큐브 서울 개관 준비를 위해 서울을 찾은 아시아 제너럴 매니저, 웬디 쉬(Wendy Xu)가 말했다. “그런데 작년 프리즈 서울에서는 하루가 금방 갔어요. 보통 페어의 마지막 날에는 관객이 적어서 오후면 폐장 준비를 하는 분위기인데, 폐막 순간까지 꽤 붐볐죠. 가장 놀란 점은 많은 관객이 우리 부스에 있는 대부분의 작품을 알아봤다는 거예요. 미리 정보를 찾아보고 공부한 경우가 많더군요. 다른 나라에서는 보지 못한 현상입니다.” 홍콩에 거주하며, 런던 베이스 갤러리의 아시아 지역 운영 전략을 총괄하는 웬디 쉬에게 올해 ‘서울’은 집중 주제다. 화이트 큐브가 런던, 홍콩, 파리, 웨스트 팜비치에 이어 오는 9월 5일 서울에 오픈하기 때문이다. 홍콩에서는 고층 빌딩에 여러 갤러리가 층층이 자리 잡는 모양새가 많지만, 한국의 갤러리들은 단독 건물을 사용하거나 골목길에 자리 잡더라도 1층에 있는 경우가 많다. 뭔가 일을 벌이고 싶어도 마땅한 장소를 찾기 쉽지 않았을 서울에서, 화이트 큐브는 ‘부동산은 타이밍’이라는 명제를 확인시켜주는 또 하나의 사례가 될 것 같다. 갤러리는 강남 도산공원 인근, 호림아트센터라는 탁월한 위치에 안착했다. 그 덕에 이 부근은 아뜰리에 에르메스, 페로탕 도산파크과 함께 ‘아트 트라이앵글’을 이루는 거리가 되었다. “1993년 런던 화이트 큐브가 오픈할 때, 버몬지는 주거지역이라는 점 외에 딱히 특별한 게 없는 곳이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 점차 중요한 갤러리들이 버몬지로 옮겨왔죠. 주변 분위기가 달라진 거예요. 서울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겠죠.”

1990년대 초반은 지금 영향력 있는 컨템퍼러리 아트 갤러리가 다수 나타난 시기다. 화이트 큐브뿐 아니라 데이비드 즈워너, 하우저앤워스, 페로탕이 그즈음 개관했다. 영국의 재능 있는 젊은 작가들, 일명 YBA(영 브리티시 아티스트)가 떠오르던 1990년대. 화이트 큐브는 이후 YBA의 대표적 작가로 발전한 트레이시 에민이 첫 개인전을 개최한 곳이기도 하다. 작년 프리즈 서울 화이트 큐브 부스에서 작품을 알아본 관객이 많았던 것은 데이미언 허스트, 안토니 곰리, 안드레아 거스키 같은 명망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 많아서였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니까 오는 9월, 화이트 큐브는 개관전과 프리즈 서울 참가라는 굵직한 행사를 함께 소화해야 한다. 같은 시기인 만큼 겹치는 작가도 여럿이지만, 각각의 장소에서 보게 될 작업 스타일은 꽤 다를 것이다. 먼저 9월 5일부터 12월 21일까지 계속되는 개관전 <영혼의 형상(The Embodied Spirit)>은 여성 작가의 그룹전이다. 트레이시 에민, 크리스틴 아이 추, 마르게리트 위모, 루이스 지오바넬리, 이진주 등등이 철학과 형이상학, 인간 행동의 동기를 탐구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페어에는 개관전에도 작품을 내는 트레이시 에민과 마르게리트 위모를 비롯해 작고 작가인 브람 보가트, 전속 작가인 이사무 노구치, 작가이자 ‘액티비스트’로도 불리는 티에스터 게이츠, 갈등과 모순이라는 주제로 조각을 비롯해 다양한 설치 작업을 하는 모나 하툼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 약 35점을 만날 수 있다. 트레이시 에민은 개관전에는 드로잉 작품을, 페어에는 잘 알려진 작업 스타일인 네온 텍스트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가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네온 작업을 멈출 거라고 하더군요. 예술에 대한 다른 접근법을 찾겠다면서. 그래서 이번 출품작을 특별하게 느껴요. 여러 색깔의 네온 텍스트 작품이 있지만, 경험상 아시아 컬렉터들은 대체로 빨강색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문구가 긴 것보다 짧은 걸 선호하는 편이죠(웃음).”

미노루 노마타
‘Ascending Descending – 9’(2018) 65.4 x 45.8 x 2.4cm.
‘회화는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한 세계이기도 하지만, 활력을 주는 세계가 되었으면 한다.’ 초현실적인 시공간을 창조하는 작가의 말이다.
MINORU NOMATA ASCENDING DESCENDING-9 2018,
OIL ON CANVAS, 65.4 X 45.8 X 2.4 CM 125 3/4 X 18 1/16 X 0 15/16 IN,
© THE ARTIST, COURTESY WHITE CUBE

모나 하툼
‘Static(colander)’(2022) 25 x51x 43cm.
주방 도구를 이용, 여성들이 가사 업무와 관련해 느낄 수 있는 함정을 재조명하는 작업 중 하나. 거미줄은 작가의 작품에 곧잘 등장한다.
MONA HATOUM, STATIC(COLANDER) 2022, ALUMINIUM,
WIRE AND GLASS BEADS, 25 X 51 X 43 CM 1 9 13/16 X 20 1/16 X 16 15/16 IN,
© MONA HATOUM, PHOTO © WHITE CUBE(THEO CHRISTELIS)

아트페어가 기본적으로 작품을 사고파는 시장임을 생각하면, 그곳에는 지금 이미 고가인 작품 외에 언젠가 훨씬 고가로 치솟을 작가의 작업도 여기저기 놓여 있을 것이다. 밝은 노랑색이 두툼한 텍스처를 드러내는, 회화 같기도, 조각 같기도 한 브람 보가트의 작품은 1970년대에 제작되었다. “매우 모던하고 흥미진진한 추상이에요. 시대를 초월한 작품이죠. 벨기에 출신의 브람 보가트는 구상화로 시작해서 점점 자기만의 추상 패턴을 완성했어요. 젊은 세대, 젊은 예술가, 젊은 컬렉터··· ‘젊음’이 강조되는 시대 같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시니어’에 관심이 있어요.”

관객으로서 아트페어를 전시장으로 여길 때 아쉬운 점이라면, 공간의 제약으로 스케일이 큰 설치 작업은 거의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가족이 레바논 시민권을 얻을 수 없었던 팔레스타인인 모나 하툼은 젠더와 인종 문제 등에서 출발한 멋진 설치 작업을 많이 선보였지만, 페어장에서는 어쩌면 소품처럼 보일 알루미늄 작업을 소개한다. “작가들은 보통 여러 가지 시리즈 작업을 합니다. 한 주제에 대해서 규모도 매체도 다양하게 작업할 수 있죠. 그중 한 작품만 페어장에 나온다 해도, 그게 시리즈 작업이라는 점이 중요해요. 우리는 그 한 작품을 계기로 작가에 대해 찾아보고 궁금해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길 바라는 거죠. 페어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그 작가를 소개하는 기회이자 통로라고 생각해요.”
아트페어가 하나의 통로이듯, 한국에 지점을 낸 저명한 갤러리들은 한국 작가에게 또 하나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서울에 갤러리가 늘어나고 국제 아트페어가 상륙한 것은 이곳이 플랫폼이 되었다는 의미다. 갤러리가 누군가를 데려오면 관객은 감상을 하고, 컬렉터는 작품을 구입하는 것 외에 더 창조적인 만남이 이루어질 순 없는 걸까? “한국에 갤러리를 내면, 이를 통해 한국 시장에 대해 더 잘 알게 되고 연구할 수 있어요. 그 과정에서 재능 있는 한국 작가도 발굴할 수 있겠죠. 이제 유럽의 훌륭한 작가를 한국에 데려오는 건 물론, 한국이나 아시아권 작가를 좀 더 국제적인 플랫폼으로 데려가는 역할을 해내기에도 좋고요.” 최근 화이트 큐브 홍콩에서는 4명의 젊은 아시아 작가가 그룹전을 했다. 홍콩, 대만, 중국 본토, 그리고 말레이시아 출신의 그 작가들은 화이트 큐브 소속 작가는 아니다. 전시는 재능 있고 잠재력 있는, 그래서 언젠가 화이트 큐브와 함께 일할 수도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자 마련된 ‘인사이드 오브 화이트 큐브’라는 프로그램의 일환이었다. 그런 일이 한국의 청년 작가에게도 일어날 거란 기대감이 들게 하는 이야기다. 이미 화이트 큐브와 일하는 한국 작가로는 박서보가 있다. “한국에 올 때마다 이제껏 미처 알지 못했던 좋은 점이 많다는 걸 발견합니다. 좋은 로컬 갤러리와 작가도 많아요. 세계적인 작가를 소개하는 뮤지엄도 제법 있고요. 예를 들면 작년에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안드레아 거스키 전시를 했죠. 거스키는 매우 중요한 작가거든요. 이러한 환경은 거저 생기지 않습니다. 이 도시에서 계속 생활하는 사람들에겐 눈에 띄는 일이 아닐 수도 있겠지만, 다른 곳에서 온 제가 보기에 서울은 고마운 환경입니다.”

라킵 쇼
‘Birds of a feather… Can’t Always Fly’(2022-2023) 각각 44.6x 44.6x 3.5cm.
많은 상징과 차용을 통해 현란할 정도로 화려하고 디테일이 풍성한 회화를 만드는 작가. 이 작품은 단정한 편에 속한다.
RAQIB SHAW, BIRDS OF A FEATHER… CAN’T ALWAYS FLY, 2022-2023,
ENAMEL AND PENCIL ON PAPER MOUNTED ON ALUMINIUM 3 PARTS,
EACH: 40.2 X 40.2 CM 115 13/16 X 15 13/16 IN, 44.6 X 44.6 X 3.5 CM 1179/16 X 17 9/16 X 1 3/8 IN.
(FRAMED) © RAQIB SHAW, PHOTO © WHITE CUBE (DAVID WESTWOOD)

트레이시 에민
‘Open Me Again’(2008) 36.2 x 139.6 6cm.
에민의 창작 과정은 주로 언어와 글쓰기에서부터 출발한다. 어떤 감정을 일으키는 아련한 네온 불빛과 작가의 메시지.
TRACEY EMIN, OPEN ME AGAIN, 2008, NEON [RED], 36.2 X 139.6 X 6 CM 1141/4 X 54 15/16 X 2 3/8 IN,
© TRACEY EMIN. ALL RIGHTS RESERVED, DACS 2022, PHOTO © WHITE CUBE (THEO CHRISTELIS)

화이트 큐브 홍콩은 미국과 유럽 갤러리들이 아시아 거점으로 홍콩에 진출한 사례 중 가장 빠른 편인 2012년 개관했다. 그 후 다른 몇몇 갤러리는 홍콩에 이어 한국에도 지점을 냈고, 화이트 큐브 서울은 이제야 비로소 실현된다. 원래는 뉴욕점 개관이 큰 이슈였지만, 서울에 좋은 위치를 찾으면서 한국 프로젝트가 빠른 속도로 흘러갔다. “하나의 갤러리에서는 1년에 대여섯 번 정도의 전시만 열어요. 서울에 갤러리가 생기면 우리는 그만큼의 전시를 아시아에서 더 선보일 수 있는 셈이죠. 홍콩점과 서울점은 경쟁 관계가 아닙니다. 아시아 지분을 더 키워가는 기회죠.” 지금 화이트 큐브는 갤러리에 아주 중요한 작가와 국내 미술관 전시를 하기로 논의 중이라고 한다. 자세히 말할 단계는 아니지만, 일이 성사된다면 2년 후쯤 그 전시를 보게 될 것이다. 서울에 아트페어가, 갤러리가 생기면서 보다 활발히 유형과 무형의 이슈가 생겨난다는 것. 새로운 무언가의 등장은 애호가들에겐 언제나 반가운 일이다.

2023 프리즈 서울 가이드, 데이비드 즈워너

2023 프리즈 서울 가이드, 페이스

에디터
권은경

SNS 공유하기